정부에서 주는 지원금이 있는데도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정말 많더라고요. 저도 작년까지만 해도 전혀 몰랐는데, 우연히 알게 된 방법으로 지원금 여러 개를 찾아서 신청했어요. 절차는 간단한데 의외로 모르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제가 찾은 지원금들
친구가 토스 앱에서 정부지원금 찾았다고 하길래 저도 해봤어요. 청년 교통비 지원금, 주거급여 청년 분리지급, 국민취업지원제도까지 3개가 나왔어요.
정부24의 보조금24가 더 포괄적이에요. 중앙부처와 지자체 지원금을 모두 보여주거든요. 제일 놀랐던 건 청년 월세 특별지원이었어요. 월세 20만원씩 최대 12개월 지원이라니, 신청 안 했으면 240만원 놓칠 뻔했어요.
1분 만에 조회하는 방법
정부24 보조금24
- 정부24 접속 → 보조금24 검색 → 로그인
- 주소, 가족 구성, 소득 정보 입력
- 맞춤형 지원금 목록 자동 조회
토스 앱
- 전체 메뉴 → 지원금 찾기 → 숨은 정부지원금 찾기
- 기본 정보 입력하면 1분 내 결과 확인
- 신규 지원금 알림 기능 제공
최근에는 신한은행 SOL 같은 은행 앱에서도 조회가 돼요. 평소 쓰는 앱에서 확인할 수 있어서 편해요.
신청할 때 알아둘 점
조회 결과가 나왔다고 무조건 받을 수 있는 건 아니에요. 저도 5개 중 3개만 신청 가능했어요. 나머지 2개는 소득이 조금 초과되거나 거주지 요건이 안 맞았거든요.
꼭 준비할 서류
- 주민등록등본 (최근 1개월 이내)
- 소득증명서 (최근 3개월치)
- 통장 사본, 재학증명서 등 추가 서류
올해부터 시작된 '혜택알리미' 서비스도 등록하세요. 내 조건에 맞는 새 지원금이 생기면 자동으로 알려줘요.
신청 후 결과는 보통 2주~한 달 걸려요. 심사 과정이 있으니까 조급해하지 마세요. 온라인 신청이 어려우면 주민센터에서 도움받을 수 있어요.
사칭사이트 구별법
요즘 "정부지원금 확인하세요" 문자 많이 오죠. 절대 클릭하면 안 돼요. 정부는 문자 링크로 신청을 유도하지 않아요.
진짜 사이트 확인법
- 주소창에 gov.kr 확인
- 자물쇠 표시(https) 확인
- 계좌번호, 비밀번호 요구 시 바로 나가기
가짜 사이트는 대부분 디자인이 어설프거나 맞춤법이 틀려요. 의심되면 네이버나 구글에서 정부24 직접 검색해서 들어가세요.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게 중요해요. 정책이 계속 바뀌니까 3개월에 한 번씩은 들어가서 봐요. 실제로 지난달에 새로 생긴 지원금 하나 더 찾았거든요.
제가 놓쳤던 지원금만 100만원이 넘었어요. 조회하는 데 10분도 안 걸리니까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3개월에 한 번 꼭 확인해보세요. 지금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이 생겼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