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비 실손보험 청구는 의원 1만원, 병원 1만 5천원, 상급종합병원 2만원 이상부터 가능해요. 비급여 항목은 3만원 이상이어야 청구할 수 있어요.
병원 종류별로 다른 청구 기준
동네 의원에서 진료받고 8천원 나왔다면 청구가 안 돼요. 1만원이 넘어야 실손보험 청구가 가능하거든요.
병원이나 종합병원은 1만 5천원부터예요. 대학병원 같은 상급종합병원은 2만원 이상 지출해야 청구할 수 있어요.
약국에서 처방받은 약값은 8천원 이상이면 청구 가능해요. 진료비랑 약값을 합쳐서 기준 금액을 넘으면 함께 청구할 수 있어요.
이 기준은 2023년 7월부터 적용됐어요. 예전엔 급여 5천원, 비급여 1만원이었는데 소액 청구가 너무 많아서 기준이 올라갔대요.
비급여 항목도 청구되나요
MRI나 도수치료 같은 비급여 항목도 실손보험 청구 대상이에요. 다만 3만원 이상 지출해야 해요.
비급여 항목은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서 병원비가 비싼 편이에요. 그래서 최소 청구 금액도 급여 항목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어요.
초음파, 체외충격파, 추나요법도 실손보험에서 보장하는 경우가 많아요. 보장 횟수나 금액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확인해보세요.
미용이나 예방 목적 시술은 보장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어요. 건강검진이나 영양주사도 보통 제외 항목이에요.
자기부담금은 얼마나 되나요
급여 항목은 본인부담금의 20% 또는 최소 자기부담금 중 큰 금액을 공제해요. 의원은 1만원, 상급병원은 2만원이 최소 자기부담금이에요.
비급여는 30% 또는 3만원 중 큰 금액이 자기부담금이에요. 예를 들어 비급여 검사로 10만원 썼다면 3만원은 본인이 부담하고 7만원을 돌려받아요.
입원할 때는 자기부담금이 달라요. 보통 10만원 정도를 공제하고 나머지를 보험금으로 받을 수 있어요.
청구하면 언제 받을 수 있을까
보험금은 보통 2~3일 안에 들어와요. 서류가 다 준비되어 있고 금액이 적으면 당일에 받는 경우도 있어요.
보험사에서 추가 심사가 필요한 경우에는 최대 30일까지 걸릴 수 있어요. 고액 청구나 특별한 사유가 있을 때 그래요.
2024년 10월부터는 '실손24' 앱으로 병원에서 바로 전산 청구가 가능해졌어요. 종이 서류 없이도 간편하게 청구할 수 있게 됐어요.
병원에서 실손24 연동이 안 되는 경우도 있어요. 그럴 땐 기존처럼 보험사 앱이나 홈페이지로 청구하면 돼요.
실제로 청구해보니
얼마 전에 감기로 동네 의원 갔다가 1만 2천원 나왔어요. 보험사 앱에서 영수증 사진 찍어서 올렸더니 3일 만에 입금됐어요.
필요한 서류는 진료비 영수증이랑 진료비 세부내역서예요. 병원에서 달라고 하면 바로 출력해줘요. 약국 영수증도 함께 챙기면 한 번에 청구할 수 있어요.
처음엔 복잡할까봐 걱정했는데 생각보다 간단했어요. 앱에서 안내하는 대로 따라하니까 10분도 안 걸렸어요.
급여 항목이랑 비급여 항목을 따로 청구할 필요는 없어요. 한 번에 다 올리면 보험사에서 알아서 계산해줘요.
진료받은 날짜랑 청구 날짜가 달라도 상관없어요. 다만 3년이 지나면 청구 권리가 소멸되니까 주의하세요.
여러 보험 가입했다면
실손보험을 여러 개 가입했어도 실제 쓴 병원비 이상은 못 받아요. 각 보험사에서 비율대로 나눠서 지급한대요.
예를 들어 A보험사랑 B보험사에 가입했다면 각각 50%씩 청구할 수 있어요. 중복으로 100% 이상 받는 건 안 돼요.
첫 번째 보험사에 청구할 때 다른 실손보험 가입 여부를 물어봐요. 정직하게 답변하면 보험사끼리 알아서 처리해줘요.
보험금 청구는 진료일로부터 3년 안에 해야 해요. 까먹고 있다가 나중에 청구해도 되니까 영수증은 잘 보관하세요.
병원비가 기준 금액보다 적으면 모아뒀다가 한 번에 청구하는 것도 방법이에요. 자주 병원 가는 분들은 이렇게 하면 편해요.
청구할 때 주의사항
진료비 세부내역서가 없으면 청구가 어려울 수 있어요. 병원에서 안 주면 꼭 달라고 요청하세요. 대부분 무료로 발급해줘요.
통원 치료를 여러 날 받았다면 날짜별로 따로 청구해야 해요. 입원은 퇴원할 때 한 번에 청구하면 돼요.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산 일반의약품은 보험 청구가 안 돼요. 의사 처방을 받은 약만 청구 가능해요.
교통사고나 산재로 다친 경우는 실손보험 청구가 제한될 수 있어요. 다른 보험에서 보상받을 수 있는지 먼저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