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검진 기본 항목: 병원마다 다 다른 줄 알았는데 아니었어요

건강검진 받으러 갔는데 항목이 달라서 혼란스러웠어요


작년에 직장 건강검진을 받고 올해는 동네 병원에서 받았는데요. 검사 항목이 달라서 뭐가 맞는지 헷갈렸어요. 어떤 곳은 심전도도 찍어주고 복부초음파도 해주는데, 어떤 곳은 피검사랑 엑스레이만 찍고 끝나더라고요.


친구들한테 물어봐도 다들 받은 검사가 제각각이라 더 혼란스러웠어요. 그래서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찾아보니 기본 항목은 전국적으로 똑같다는 걸 알게 됐어요.


흰색 배경에 놓인 건강검진 체크리스트 용지와 청진기. 한글로 '건강검진'이라고 적힌 체크리스트에 검은색 펜으로 체크 표시를 하고 있는 손. 체크리스트 항목들이 나열되어 있고 클립보드에 끼워져 있음.


국가에서 정한 필수 항목은 이렇게 정해져 있어요


일반 건강검진 기본 항목은 이렇게 구성되어 있어요:


  • 진찰 및 상담: 의사 선생님이 문진하고 전반적인 건강 상태 확인
  • 신체계측: 키, 몸무게, 허리둘레 측정하고 체질량지수 계산
  • 혈압측정: 기본 혈압 체크
  • 시력과 청력 검사: 기본적인 감각 기능 확인
  • 흉부 엑스레이: 폐 상태 확인
  • 혈액검사: 혈색소, 공복혈당, 간 기능(AST, ALT, 감마지티피), 신장 기능(크레아티닌, 신사구체여과율)
  • 소변검사: 단백뇨 확인
  • 구강검진: 치아와 잇몸 상태 점검


이 항목들은 만 20세 이상이면 누구나 받는 필수 검사예요. 2년에 한 번씩 받을 수 있고, 비사무직은 1년에 한 번 받을 수 있어요.


나이나 성별에 따라 추가되는 검사들도 있어요


기본 항목 외에 나이나 성별에 따라 추가되는 검사들이 있어요:


  • 이상지질혈증 검사: 남자 24세부터, 여자 40세부터
  • B형, C형 간염 검사: 연령에 따라 추가
  • 골밀도 검사: 여성 54세, 66세
  • 인지기능장애 검사: 66세부터 2년마다
  • 우울증 검사, 생활습관 평가: 연령대별로 추가


이런 추가 검사들은 국가에서 정한 거라 전국 어디서나 동일하게 적용돼요. 그런데 제가 혼란스러웠던 건 병원마다 자체적으로 추가하는 검사들 때문이었어요.


흰색 가운을 입고 청진기를 착용한 의료진이 투명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를 조작하는 모습. 가상 화면에는 분홍빛 심장의 3D 이미지와 심전도 그래프, 각종 의료 데이터가 떠 있음. 배경은 흐릿한 병원 내부이며 파란빛 톤의 미래적인 분위기를 연출.


병원에서 추가로 하는 검사는 선택사항이에요


기본 항목이 아닌 검사들:

  • 심전도
  • 복부초음파
  • 위내시경, 대장내시경
  • 암표지자 검사
  • 갑상선초음파


이런 검사들은 필요하거나 본인이 원할 때 추가로 받는 거예요. 그래서 병원마다 제공하는 검사가 달랐던 거죠. 어떤 병원은 기본 검사만 하고, 어떤 병원은 여러 가지를 패키지로 묶어서 제공하는 식이에요.


복부초음파나 갑상선초음파는 기본 검진에는 없지만 꽤 중요한 검사예요. 간이나 담낭, 췌장, 신장 같은 복부 장기들을 확인할 수 있거든요. 특히 간암이나 담석, 췌장암 같은 질환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어서 많은 의사들이 추천해요.


가족력이 있으면 추가 검사를 더 신경 써야 해요


가족 중에 특정 질환이 있었다면 관련 검사를 더 일찍, 더 자주 받는 게 좋아요:


  • 유방암 가족력: 유방초음파 추가, BRCA 유전자 검사 고려
  • 대장암 가족력: 40세부터 대장내시경 시작
  • 위암 가족력: 위내시경 정기검사
  • 심혈관질환 가족력: 심장초음파, 경동맥초음파 추가
  • 갑상선암 가족력: 갑상선초음파 검사


이런 추가 검사들은 비용이 들지만 가족력이 있다면 투자할 가치가 있어요.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면 치료도 쉽고 예후도 좋으니까요.


연령대별로 꼭 받아야 할 검사가 달라요


20대:

  • 자궁경부암 검사 시작 (여성, 국가 지원)
  • 간염 항체 검사 및 예방접종
  • 갑상선 기능 검사 (특히 여성)


30대:

  • 위내시경 시작 고려 (증상이나 가족력 있을 때)
  • 복부초음파 추가
  • 갑상선암, 자궁경부암, 유방초음파 (여성)


40대:

  • 5대 암 검진 시작 (위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간암)
  • 심혈관질환 검사 추가
  • 골밀도 검사 (폐경 전후 여성)


50대:

  • 대장내시경 5년마다
  • 폐암 검사 (흡연력 있으면 54세부터)
  • 전립선암 검사 (남성)
  • 심장, 뇌 정밀검사


60대 이상:

  • 치매 선별 검사 (66세부터 2년마다)
  • 뇌졸중, 파킨슨병 검사
  • 골다공증 검사
  • 시력, 청력 정밀검사


건강검진 기본 항목은 전국 어디서나 똑같지만, 개인의 나이나 가족력, 생활습관에 따라 필요한 검사는 달라요. 기본 검진만 받고 안심하기보다는 자신에게 필요한 추가 검사가 뭔지 의사와 상담해보는 게 좋을 것 같아요.


본 글은 일반적인 건강 정보 제공을 위한 것이며, 전문적인 의학적 조언이 아닙니다. 개인의 증상이나 상황에 따라 결과가 다를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반드시 의사 등 전문 의료인과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약국에서 수면보조제 사서 먹어봤는데 효과가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