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국에서 수면보조제 사서 먹어봤는데 효과가 있을까요?

본 글은 특정 제품의 효과를 보장하지 않으며 개인 체험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쿨드림이랑 레돌민 둘 다 사서 한 달 넘게 먹어본 후기예요. 처음엔 병원 가기 부담스러워서 약국에서 살 수 있는 걸로 시작했어요. 결론부터 말하면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저한테는 쿨드림은 즉시 효과가 있었고 레돌민은 2주 지나서야 조금씩 체감됐어요.


약국 수면보조제 뭐가 있는지 찾아봤어요


약국에 가니까 생각보다 종류가 많더라고요. 약사님이 크게 두 가지로 나눠서 설명해주셨어요.


하나는 감기약에도 들어가는 성분으로 만든 거고(쿨드림, 슬리펠 같은 거), 다른 하나는 식물 추출물로 만든 거(레돌민)라고 하시더라고요. 전자는 빨리 졸음이 오는 대신 다음날 몽롱할 수 있고 후자는 효과가 천천히 나타나는 대신 부작용이 적다고 하셨어요.


저는 당장 잠이 안 와서 힘들었기 때문에 쿨드림부터 사봤어요. 디펜히드라민이라는 성분이 25mg 들어있는 거였는데 약사님이 처음엔 한 알만 먹어보고 안 되면 두 알까지는 괜찮다고 하시더라고요.


시계와 약병 옆에서 양을 세며 잠들지 못해 고민하는 여성과 침대 주변을 뛰어다니는 양들을 표현한 일러스트


쿨드림 먹고 30분 만에 잠들었어요


정말 신기했어요. 평소에 침대에 누워서 2시간은 뒤척이는데 쿨드림 먹고 30분쯤 지나니까 눈꺼풀이 무거워지더라고요. 감기약 먹었을 때처럼 몽롱한 느낌이 들면서 자연스럽게 잠들었어요.


문제는 다음날이었어요. 알람 소리 못 듣고 지각할 뻔했고 오전 내내 머리가 무겁고 입이 바싹 마르더라고요. 커피를 세 잔이나 마셔도 졸음이 안 가셨어요. 주말에만 먹어야겠다 싶었죠.


일주일 정도 먹으니까 처음만큼 효과가 없어지기 시작했어요. 한 알로는 잠이 안 와서 두 알을 먹어봤는데 그러면 다음날이 더 힘들더라고요. 약사님 말씀으로는 이런 약은 일주일 이상 연속으로 먹으면 안 좋다고 하셨어요.


입마름 외에도 변비가 생기고 소변보기가 불편해지는 부작용도 있었어요. 특히 고령자분들은 이런 부작용이 더 심할 수 있다고 하니 주의하셔야 할 것 같아요.


레돌민은 2주 넘게 먹어야 효과가 있더라고요


쿨드림 때문에 고민하다가 레돌민으로 바꿔봤어요. 길초근이랑 홉 추출물이 들어간 생약 성분이라고 하더라고요.


처음 일주일은 정말 아무 효과도 못 느꼈어요. 잠도 안 오고 아침에 일어나도 똑같고. 영양제 먹는 기분이었어요. 그런데 약사님이 최소 2주는 꾸준히 먹어보라고 하셔서 계속 먹었어요.


2주쯤 지나니까 조금씩 달라지더라고요. 잠드는 시간이 짧아진 건 아닌데 밤에 깨는 횟수가 줄었어요. 평소에 새벽 3시쯤 꼭 한 번 깼는데 그게 없어졌어요. 아침에 일어났을 때도 전보다 개운한 느낌이 들었고요.


한 달 정도 먹으니까 확실히 수면의 질이 좋아진 걸 체감했어요. 쿨드림처럼 바로 잠들게 하는 효과는 없지만 자고 일어났을 때 몸이 가벼워진 느낌이었어요.


밤하늘의 별과 달 아래에서 평화롭게 잠든 여성과 하늘을 뛰어다니는 양들을 표현한 일러스트


두 가지 다 먹어보고 느낀 점


쿨드림 같은 항히스타민제는 정말 급할 때, 내일 중요한 일이 있어서 무조건 자야 할 때 먹으면 좋을 것 같아요. 대신 주말 전날이나 쉬는 날 전날에만 먹는 게 나을 듯해요.


레돌민은 불면증이 만성적으로 있는 사람한테 맞는 것 같아요. 즉시 효과는 없지만 꾸준히 먹으면 전반적인 수면 패턴이 개선되는 느낌이었어요. 부작용도 거의 없었고요.


약국 수면보조제가 병원에서 처방받는 수면제만큼 강하지는 않지만 가벼운 불면증이나 일시적으로 잠이 안 올 때는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다만 너무 의존하지 말고 수면 습관도 같이 개선하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7시간 20분의 수면 시간과 심박수 65bpm을 보여주는 수면 트래킹 앱 화면을 보며 잠든 여성 일러스트


저는 약 먹으면서 스마트폰을 침대에서 멀리 두고 잠들기 2시간 전부터는 카페인 섭취를 안 하려고 노력했어요. 침실 온도도 조금 낮게 유지하고 규칙적인 시간에 잠자리에 들려고 했고요. 이런 습관들이 약효과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됐던 것 같아요.


만약 2주 이상 약을 먹어도 전혀 효과가 없거나, 부작용이 심하거나, 낮에도 계속 피곤하다면 병원에 가서 전문의 상담을 받아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수면 문제가 다른 건강 문제의 신호일 수도 있다고 하더라고요.


감기약 먹고 피곤한데 잠이 안 오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