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핫스팟으로 노트북을 연결해서 쓰다 보면 어느 순간부터 인터넷이 갑자기 느려져요. 저는 최근에 카페에서 노트북 작업하다가 이런 일을 겪었는데요. 알고 보니 통신사에서 핫스팟 데이터에 별도 제한을 두고 있더라고요.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쓰더라도 핫스팟으로 다른 기기에 연결할 때는 완전히 다른 규칙이 적용돼요. 스마트폰으로 직접 쓰는 데이터는 무제한이지만 핫스팟 데이터는 따로 관리되는 거예요.
통신사마다 다른 핫스팟 제한 정책
제가 직접 확인해본 결과 각 통신사별로 핫스팟 정책이 정말 다르더라고요.
SKT 요금제별 핫스팟 제한
- 5GX 프라임: 50GB까지 사용 가능, 초과 시 5Mbps로 속도 저하
- 5GX 레귤러: 20GB까지 사용 가능, 초과 시 1Mbps로 속도 저하
- 언택트 플랜: 10GB까지만 가능, 초과하면 400Kbps로 뚝 떨어짐
KT 요금제별 핫스팟 제한
- 5G 슈퍼플랜 프리미엄: 100GB까지 사용 가능, 초과 시 3Mbps
- 데이터ON 비디오: 20GB까지만 가능, 초과 시 400Kbps
LG U+ 요금제별 핫스팟 제한
- 5G 프리미어 플러스: 100GB까지 사용 가능, 초과 시 5Mbps
- LTE 데이터 스페셜: 10GB까지만 가능, 초과 시 400Kbps
400Kbps로 떨어지면 웹서핑도 버거워요. 유튜브는 240p 화질로 겨우 볼 수 있는 수준이고 파일 다운로드는 거의 불가능해져요. 5Mbps 정도면 그나마 일상적인 작업은 가능하지만 고화질 영상이나 대용량 파일 전송은 어려워요.
최신폰일수록 제한이 더 칼같이 적용돼요
재미있는 건 스마트폰 기종에 따라서도 제한 적용이 달라진다는 거예요. 제 친구가 구형 갤럭시를 쓰는데 같은 요금제인데도 핫스팟 제한이 덜 걸리더라고요. 반면 최신 갤럭시나 아이폰은 정해진 용량 딱 맞춰서 속도가 떨어져요.
통신사에서는 최신폰에 더 정교한 제한 시스템을 넣어놨어요. APN 설정이나 네트워크 트래픽 감지 기술로 핫스팟 사용을 정확히 파악하고 제한을 거는 거죠.
예전에는 APN 설정에서 dun 옵션을 추가하거나 프록시 서버 앱을 쓰면 어느 정도 우회가 가능했어요. 하지만 최근에는 이런 방법도 거의 막혔어요. 특히 통신사 공식 매장에서 산 최신폰은 우회가 거의 불가능해요.
핫스팟 속도 제한 피하는 현실적인 방법
완전히 피할 수는 없지만 조금이라도 불편을 줄이는 방법은 있어요.
첫째, 핫스팟 데이터 용량이 큰 요금제로 변경하는 게 가장 확실해요. KT나 LG U+ 프리미엄 요금제는 100GB까지 핫스팟을 쓸 수 있어서 웬만해서는 제한에 걸리지 않아요.
둘째, 꼭 필요한 작업만 핫스팟으로 하고 영상 시청이나 대용량 다운로드는 와이파이가 있는 곳에서 하는 게 좋아요. 저는 이제 카페 갈 때 와이파이 비밀번호부터 물어봐요.
셋째, 구형 공기계가 있다면 유심을 옮겨서 써보는 것도 방법이에요. 완벽하진 않지만 최신폰보다는 제한이 느슨한 경우가 많거든요.
결국 통신사 입장에서는 네트워크 부하 관리와 요금제 차별화를 위해 이런 정책을 쓸 수밖에 없어요. 우리는 이런 제한을 알고 현명하게 대처하는 수밖에 없는 것 같아요.
여러분도 갑자기 핫스팟이 느려졌다면 먼저 자신의 요금제 핫스팟 한도를 확인해보세요. 생각보다 빨리 한도에 도달할 수 있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