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에 연금저축계좌 개설하면서 ETF를 담아봤는데요. 일반 주식계좌랑 구조부터 세금까지 정말 많이 다르더라고요. 처음엔 복잡해 보였는데 실제로 운용해보니 장단점이 확실히 보이네요.
일반계좌에서 ETF 투자할 때 아쉬웠던 점
그동안 일반 증권계좌로 ETF 투자하면서 제일 신경 쓰였던 게 세금이었어요. 매매차익이나 배당금 받을 때마다 15.4%씩 떼이는 게 은근히 부담스럽더라고요. 특히 자주 사고팔면서 리밸런싱할 때마다 세금 내는 게 아까웠어요.
손실 본 종목이 있어도 이익 낸 종목하고 상계가 안 되니까 더 억울했죠. 이익 볼 때만 세금 내고 손실은 그냥 내 손실로만 남는 구조니까요.
연금저축계좌로 옮기고 달라진 것들
연금저축계좌에 ETF를 담으니까 일단 세액공제부터 받을 수 있었어요. 작년에 400만원 넣었는데 연말정산 때 66만원 돌려받았어요. 소득이 높으신 분들은 700만원까지 넣으면 115만원까지도 받을 수 있다고 하더라고요.
그리고 ETF 사고팔 때 세금을 안 내도 돼요. 매매차익이나 분배금 받아도 당장은 세금이 안 나가고 나중에 연금으로 받을 때 3.3~5.5%만 내면 되니까 확실히 부담이 줄었어요. 일반계좌에서 15.4% 내던 걸 생각하면 엄청난 차이죠.
계좌 안에서 손익을 전체적으로 상계해주는 것도 좋았어요. 어떤 ETF는 손실 보고 어떤 건 이익 봐도 전체 합쳐서 순이익에만 세금 내면 되니까 훨씬 합리적이더라고요.
직접 운용하면서 느낀 점
연금저축계좌에서도 주식형, 채권형, 리츠, 원자재 ETF 다 살 수 있어요. 심지어 계좌 전액을 주식형 ETF에 넣어도 상관없더라고요. 거래소에서 실시간으로 사고팔 수 있는 것도 똑같고요.
다만 직접 종목 선택하고 리밸런싱해야 해서 처음엔 좀 막막했어요. 펀드처럼 알아서 운용해주는 게 아니니까 공부가 필요하더라고요. 그래도 몇 번 해보니까 익숙해졌어요.
국내주식형 ETF는 매매차익에 세금이 아예 없어서 더 유리했어요. 해외주식형 ETF는 배당금에 이중과세 문제가 있다고 해서 시세차익 위주로 골랐고요.
주의할 점도 있어요
만 55세 전에 중도해지하면 불이익이 크더라고요. 받았던 세액공제 환수하고 16.5% 기타소득세까지 내야 해요. 그래서 정말 장기투자 목적으로만 넣어야 해요.
ETF 자체가 시장 변동성을 그대로 반영하니까 원금손실 위험도 있고요. 안정적으로 가고 싶으면 채권형 ETF를 섞어서 포트폴리오 구성하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세금 아낀 돈까지 다시 투자되니까 복리효과도 커지더라고요. 일반계좌에서는 세금으로 나갔을 돈이 계속 굴러가니까 장기적으로 보면 차이가 클 것 같아요.
연금저축계좌에 ETF 담는 게 처음엔 복잡해 보였는데 막상 해보니까 세제혜택이 확실하네요. 노후자금 준비하면서 절세도 하고 싶으신 분들은 한 번 알아보세요.